[뉴스초점] 윤 대통령 국빈 방미 마치고 귀국…성과와 과제는?<br /><br /><br />윤석열 대통령이 5박 7일간 미국 국빈 방문 일정을 마쳤습니다.<br /><br />이번 방미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역시 새로운 확장억제 '워싱턴 선언'이죠.<br /><br />대통령실은 미국의 선의에 기댔던 기존의 핵우산 대신, 보다 실효성 있는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국회 국방위원회 여당 간사이자 3성 장군 출신인 신원식 의원 모시고 방미 결산해보겠습니다. 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윤 대통령이 5박 7일의 방미를 마치고 귀국했습니다. 국빈 만찬장에서의 열창으로 역대급 국빈으로 불리는가 하면, 펜타곤 군 지휘 통제센터에서 미군 수뇌부에게 직접 보고도 받았는데요. 이번 대통령의 방미, 전체적으로 어떻게 보셨습니까?<br /><br /> 귀국 보따리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 '한국형 확장억제'입니다. 양국이 별도 선언으로 떼어낼 만큼 공을 들인 결과물인데요. 핵심은 한미 핵 협의 그룹(NCG) 신설입니다. 이것이 기존 확장억제와 다른 점인데요. 어떤 의미가 있는 겁니까?<br /><br /> 전략핵잠수함 등 미 전략자산의 '지속적인' 한반도 전개도 정상간 약속했습니다. 그동안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맞서 비정기적으로 전개했던 것과 차원이 달라질 것으로 보이는데요. 이에 맞춰 우리 군의 대응 태세는 어떻게 바뀌는 건가요?<br /><br /> 공동성명에 명시된 만큼 한미 훈련은 더욱 빈번해지고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. 북한에 대응한 대잠전/해상미사일방어 훈련 정례화뿐만 아니라 해양차단훈련이나 인도 지원 관련 한미일 3국간 훈련도 하겠다고 했는데요. 이 같은 한미 훈련의 변화가 자칫 지정학적 리스크를 더욱 강화하지는 않을지요?<br /><br /> 한국형 확장억제를 '사실상 핵 공유'라고 본 대통령실의 해석을 백악관이 부인하면서 양국간 인식 차이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. 미국이 일본에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허용한 것과 비교하면 한국은 동맹 차별이라는 주장도 있고요. 핵무장론에 대한 국내 여론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는데, 어떻게 보세요?<br /><br /> 북한은 '워싱턴 선언'에 반발하며 대형 도발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. 김여정 부부장은 결정적인 행동에 임해야 할 환경이 조성됐다고 했는데요. 특히 억제력의 제2의 임무를 언급했습니다. 핵 선제타격 위협으로도 해석되는데요?<br /><br /> 이 같은 북한 김여정의 입장은 윤 대통령의 미국 방문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은 시점에 나왔습니다. 공동회견에서 "정권 종말" 등 북한을 직접 겨냥한 점을 모욕적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는데요. 향후 예상할 수 있는 북한의 도발 중 어떤 부분에 더 주목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이번 방미를 계기로 정부가 강조해 온 가치동맹의 색채가 더욱 짚어졌습니다. 반면 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를 어떻게 관리할지에 대한 고민은 커졌습니다. 두 나라는 언제든 북한 문제에 대해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. 특히 중국의 반발에 대해서는 적절한 관리가 필요해 보여요?<br /><br />#윤대통령 #국빈방미 #한미정상회담 #핵협의그룹 #NCG #확장억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